교통 혼잡 및 사고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문제중 하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ITS를 추진하는 것은 시대적 대세가 된지 오래다. 1980년대부터 미국, 일본, 유럽은 대도시 및 기간교통망에 대한 지능화 사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였으며, 현재는 발전된 IT 기술을 활용하여 차량과 도로 중심의 안전 시스템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사례
미국은 넓은 땅과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교통흐름으로 국내와는 직접적으로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안전’이라는 큰 틀에서 본다면 사례로써의 가치는 충분하다 할 수 있다.
|
|
최근 미국은 기존의 자동차 위주의 교통관리, 수요관리대책에서 첨단통신기술을 이용한 교통안전대책으로의 개발과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VII(Vehicle Infrastructure Integration)’ 프로젝트로 일컬어지는 미국의 ITS는 전국적인 차량간, 차량과 도로변간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전성·이동성·시장이익의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의 실현을 목적으로 추진 중이다.
전 차량에 GPS 장치와 통신장치를 탑재하여 전국의 주요도로에서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런 시스템을 유럽, 일본과 제휴해 진행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미국의 뉴욕, 뉴저지를 중심으로 한 동부지역에서는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인 ‘E-ZPass’를 1993년부터 주요 Turnpike(유료도로)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영업소가 아닌 본선형태에서 징수하는 Express E-ZPass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확대 추세에 있다.
일본의 사례
|
일본은 1995년 VICS(Vehicl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ystem) 센터를 설립하고, 일본 전역(고속도로 및 국도, 주요도로)에서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가공해 VICS 전용단말기를 통해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2007년 3월 기준 약 1,817만대 보급).
또한, 자동요금징수 분야에서는 2001년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를 도입하여 일본 전역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에 있으며, 2006년부터 유료주차장, 주유소 등에도 도입을 시작해 확산 중에 있다(2007년 12월 기준, 단말기 2,080만대 보급, 전국 고속도로의 ETC 평균 이용율 72%).
|
최근에는 ITS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SMARTWAY’ 사업을 2004년부터 준비해 2007년 시범테스트를 진행, 상용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다.
유럽의 사례
유럽연합(EU)은 현재 유럽위원회(EC) 주도아래 유럽의 ITS 기구인 ERTICO(Europe Road Transport Telematics Information Coordination Organization)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ITS를 추진하고 있다.
|
ITS 추진체계에 따라 다양한 ITS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도로사망사고 반감을 목표로 도로안전의 향상을 위하여 ‘eSafety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eSafety는 유럽자동차공업회(ACEA)를 중심으로 사업계획을 수립(2002년)하고, 2004년부터 전차에 안티록 브레이크를 탑재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eSafety 로드맵은 2003년 11월 eSafety 총회에서 EC의 기업·정보사회 담당위원인 Erki Liikanen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향후 2020년 교통사고 사망자수 0%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신차량에 블랙박스 설치 의무화, 중·장거리 무선통신(CALM)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차량간, 차량과 도로변간 통신을 가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 고속도로 교통관리 시스템에서는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교통상황에 따라 속도를 제한하는 가변속도시스템(VSL : Variable Speed Limit)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