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 검색

2013년 2월 19일 화요일

자바스크립트 (Java Script)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 언어는 웹 사이트에서 많이 사용하며,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내장 객체에도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바 스크립트는 본래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즈 코퍼레이션의 브렌던 아이크(Brendan Eich)가 처음에는 모카(Mocha)라는 이름으로, 나중에는 라이브스크립트(LiveScript)라는 이름으로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바스크립트가 되었다. 자바스크립트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자바와 구문(syntax)이 유사한 점도 있지만, 사실 두 언어 모두 c 언어의 기본 구분을 바탕했기 때문이고, 자바와 자바스크립트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

 2013년 1월 기준으로, 가장 최근 버전은 자바스크립트 1.8.5 이고, 파이어폭스 3에서 지원된다. 표준 ECMA-262 3판에 대응하는 자바스크립트 버전은 1.5 이다. ECMA 스크립트는 쉽게 말해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된 버전이다. 모질라 1.8 베타 1이 나오면서 XML에 대응하는 확장 언어인 E4X(ECMA-357)를 부분 지원하게 되었다. 자바스크립트는 부라우저마다 지원되는 버전이 다르며, 가장 범용적으로 지원되는 버전은 1.5 이다.

 - 스크립트 언어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어한다.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라고도 한다. 스크립트 언어는 응용프로그램과 독립하여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응용프로그램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사용되어 최종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크립트(script)는 연극 용어인 스크립트에서 유래되었으며 초창기 스크립트 언어는 배치언어(batch languages) 또는 작업 제어 언어(job control languafe)라고도 불리었다.

출처 : 위키백과

2013년 2월 18일 월요일

Open API(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인터넷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웹 검색 결과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 등을 제공받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한다. 지도 서비스 및 다양한 서비스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누구나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2월 13일 수요일

FTP(File Transfer Protocol)

FTP =  "파일 전송만을 위한 인터넷 연결"


FTP란?

 일반적으로 ‘인터넷’이라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화려한 화면의 WWW(World Wide Web)
방식을 말한다. HTTP 프로토콜(데이터 전송 규약)을 통해 접속되는 WWW는 일반 문자를
비롯, 사진, 음악/동영상 콘텐츠까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많은 양의
파일을 일괄적으로 주고 받기에는 결정적으로 속도도 느리고 파일 제어도 번거롭다.
 이렇게 대량의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주도 받을 때는 파일 전송 전용 서비스인 FTP
(File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FTP 동작원리

 FTP는 인터넷을 통한 파일 송수신 만을 위해 고안된 서비스(또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동작 방식이 대단히 단순하고 직관적이다. 그런 만큼 사용법도 간단하다. 무엇보다 WWW
방식보다 파일을 빠른 속도로 한꺼번에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것이 FTP의 가장 큰 장점이다.
다만 빠른 파일 전송이 주된 목적이기에 보통의 경우 사진이나 음악,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내려 받기가 완료된 다음에 확인할 수 있다(WWW 환경에서는 내려 받으며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기본적으로 명령어 기반의 통신 서비스이기 때문에, 별도의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알FTP, Cute-FTP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사용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FTP의 동작원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FTP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여기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사이에 두 개의 연결이 생성되는데, 하나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함이고(네트워크 21번 포트), 다른 하나는 실제 데이터(파일) 전송에 사용된다(네트워크 20번 포트). 여기서 네트워크 포트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를 말한다.



 이를 테면, FTP 서버에 접속할 때 입력하는 사용자 계정 및 암호 등의 정보나 파일 전송
명령 및 결과 등은 데이터 제어용 연결에서, 이후 실제 파일 송수신 작업(올리기, 내려받기)은
데이터 전송 연결에서 처리되는 것이다.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여러 파일을 연속으로
송수신해야 하기에, 서버와의 지속적인 응답 메시지 전송을 통해 연결 상태(세션)를 유지한다. 

                                                                                 출처 : 네이버케스트

2013년 2월 12일 화요일

CDM(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친환경 개발 체계)

 1997년 제정된 교토 의정서에서는 비용 효율적인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세 가지 메카니즘으로 국제배출권거래제(IET), 공동이행(JI), 그리고 친환경개발체계(CDM)을 도입하고 있다.

 교토의정소 12조에 정의된 CDM은 선진국의 정부 또는 민간조직이 개도국 투자하여 배출감축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CER(Certified Emission Reduction)의 형태로 배출권을 얻는 것을 허용한다. 선진국들은 개도국에서의 배출감축 사업을 통해 얻은 CER을 자국의 배출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CDM은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시키는 한편 선진국들로 하여금 온실가스의 대기중 농도 감축에 기여하도록 한다.

2013년 2월 11일 월요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성 생성 언어)

 XML의 정의

  W3C에서 다른 특수 목적의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용도에서 권장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이다. XML은 SGML의 단순화된 부분집합이지만, 수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기술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XML은 주로 다른 시스템, 특히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쉽게 주고 받을 수 있게 하여 HTML의 한계를 극복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 월드 와이드 웹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조직으로 팀 버너스 리를 중심으로 1994년 10월에 설립되었다. W3C는 회원기구, 정직원,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웹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 컨소시엄이다. W3C의 설립취지는 웹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프로토콜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월드 와이드 웹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 마크업 언어 : 태그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와 구별하여 일반적으로 데이터 언어라고 하지만, {\mathrm{T\!_{\displaystyle E} \! X}}처럼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것도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 SGML : 문서용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기 위한 메타 언어이다. SGML은 IBM에서 1960년대에 개발한 GML(Generalized Markup Language)의 후속이다. SGML은 많은 응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마크업 구문을 제공한다. 심지어는 SGML 선언을 변경함으로써 꺽쇠 괄호('<', '>')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상세 참조 구문(concrete reference syntax)로도 불린다. SGML은 정부나 항공우주 기업의 대규모 계획 사업 과정에서 기계 판독형(machine-readable) 문서를 공유할 목적으로, 몇 십 년 이상(정보 기술 분야에서는 매우 긴 기간임)의 기간 동안은 판독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SGML은 인쇄와 출판 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지만, 너무 복잡한 이유로 소규모 범용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걸림돌이 되었다


 XML의 기본개념

  • XML은 구조적인 데이터를 위한 것이다.
  • XML은 다소 HTML 같이 보인다.
  • XML은 텍스트이며, 읽혀지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 XML은 크기가 커진다.
  • XML은 기술의 집합이다.
  • XML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발전한 기술이다.
  • XML은 HTML에서 XHTML로 이끌었다.
  • XML은 모듈식이다.
  • XML은 RDF시맨틱 웹의 토대이다.
  • XML은 라이선스 제약이 없으며, 플랫폼이 독립적이고, 많은 지원이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