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 검색
2010년 9월 28일 화요일
WAVE(IEEE 802.11p)의 부상
2010년 9월 25일 토요일
해당프로그램으로 데이터 받기
인터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받기
Layer3 어드레스들은 다른 네트워크의 호스트들을 중개 네트워크 장치들이 찾을 수 있도록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반해 Layer2 어드레스는 단일 네트워크 장치들 사이에서의 통신에만 사용된다. TCP/IP 프로토콜 스위트안의 모든 호스트 어드레스 IP에는 호스트가 네트워크의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로컬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있는 하나의 네트워크 중개장치라고 할 수 있는, 대체적으로 라우터가 Layer3 PDU인 패킷의 헤더안에 포함된 어드레스를 읽기위해 프레임을 분해한다. 라우터는 도착지 호스트로 도달하는 어느 경로를 사용할 지 결정하기 위해 현재주소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나눈다.
일단 경로가 결정되면 라우터가 새로운 프레임에 패킷을 캡슐화해서 도착지 최종 장치의 경로를 향하여 보내어 지며, 그 프레임이 최종적으로 도착지에 도착하면, 프레임과 패킷 헤더가 제거된 데이터가 Layer4로 올라간다.
최종장치에서 데이터 받기
그 첫번재 식별자로는 프레임이라고 부르는 2계층 PDU의 헤더안에 포함되어 있는 호스트의 물리적 어드레스 이다. Layer 2주소는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유일하며, 물리적 매체상에서 최종장치의 주소를 표현한다. LAN에 Ethernet을 사용하며, 그 주소를 MAC(Media Access Control)이라고 하며, 두개의 최종장치들이 통신할 때 로컬 이더넷 네트워크상에 출발지와 도착지 맥어드레스를 포함하여 프레임을 교환한다.
일단 도착지 호스트로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Layer2 주소정보는 제거되며, 데이터는 캡슐을 풀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Layer3으로 올라간다.
네트워크의 주소지정
데이터의 성공적인 도착을 위해 하나의 호스트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또 하나의 실행중인 도착지 어플리케이션에 알맞은 다양한 형식의 어드레스들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림에서처럼 OSI 모델을 사용하여 특별한 어드레스와 각층에서 없어서는 안될 식별자들을 볼 수 있다.
프로토콜의 상호작용
프로토콜
응용계층 | BGP, DHCP, DNS, FTP, HTTP, IMAP, IRC, LDAP, MGCP, NNTP, NTP, POP3, RIP, RTP, RTSP, SDP, SIP, SMTP, SNMP, SOAP, SSH, TELNET, XMPP, ... |
---|---|
전송계층 | TCP, UDP, DCCP, SCTP, RSVP, ... |
네트워크 계층 | IP(v4/v6), ICMP, IGMP, ARP/RARP, ... |
데이터링크 계층 | MAC(이더넷, 토큰링, FDDI), PPP, ... |
물리적 계층 | EIA RS-232, EIA RS-422, EIA RS-449, EIA RS-485, ... |
이들 프로토콜들은 각 호스트 그리고 네트워크 장치상에 로드되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된다. 개개의 호스트에 적용되는 프로토콜들을 하나의 스택(하나씩 차곡차곡 쌓아놓는것)으로 나타내면 이해하기가 쉽다.
OSI 모델과 비교
두 모델은 관련은 있으나 서로 완전히 들어맞지는 않는다. 가장 큰 차이는 계층의 수이다. 앞의 모델은 네 계층, 혹은 (링크 계층을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눈다면) 다섯 계층 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OSI 모델은 일곱 계층을 사용한다.OSI 모델이 더 잘 맞는 경우는 SSL이나 TLS를 설명할 때이다. 보통 SSL이나 TLS는 TCP의 상위에, 그리고 HTTP나 SFTP, 그 밖에 stunnel이나 VPN 위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보다는 하위에 있는 세션 계층 프로토콜로 쓰인다.
7 | Application (응용 계층) | HTTP, SMTP, SNMP, FTP, Telnet, SSH & Scp, NFS, RTSP, , ASN.1 |
6 | Presentation (표현 계층) | XDR, SMB, AFP |
5 | Session (세션 계층) | TLS, SSH, ISO 8327 / CCITT X.225, RPC, NetBIOS, AppleTalk |
4 | Transport (전송 계층) | TCP, UDP, RTP, SCTP, SPX, AppleTalk |
3 | Network (네트워크 계층) | IP, ICMP, IGMP, X.25, CLNP, ARP, RARP, BGP, OSPF, RIP, IPX, DDP |
2 |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 Ethernet, Token Ring, PPP, HDLC, Frame relay, ISDN, ATM, 무선랜, FDDI |
1 | Physical (물리 계층) | 전선, 전파, 광섬유, 동축케이블, 도파관, PSTN, Repeater,DSU, CSU, Modem |
2010년 9월 24일 금요일
게이트웨이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 근거리통신망(LAN)과 같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할 때 사용된다. 게이트웨이가 필요한 것은 네트워크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각각의 네트워크는 다른 네트워크와 구별되는프로토콜(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미리 정해 놓은 약속)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와 직접 연결하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다. 흔히 인터넷으로 보내온 전자우편을PC통신 서비스에서도 받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인터넷과 PC통신 서비스 회사의 통신망을 중개하는 게이트웨이가 있기 때문이다.